을 포함하는 세 글자의 단어: 166개

한 글자:1개 두 글자:204개 🍇세 글자: 166개 네 글자:316개 다섯 글자:112개 여섯 글자 이상:180개 모든 글자:979개

  • 고광 : (1)구한말의 의병장(1862~1930). 호는 동강(桐崗). 고광순의 동생으로, 형이 전사하자 남은 의병을 이끌고 일본군에 저항하였다.
  • 하다 : (1)약물을 태우거나 높은 열을 가하여 거기에서 발산되는 약 기운을 쐬어 병을 치료하다.
  • : (1)자극성이 있는 다섯 가지 채소류. 불가(佛家)에서는 마늘ㆍ달래ㆍ무릇ㆍ김장파ㆍ실파를 가리키고, 도가(道家)에서는 부추ㆍ자총이ㆍ마늘ㆍ평지ㆍ무릇을 이른다. 모두 음욕과 분노를 불러일으키는 음식이라고 하여 금식한다.
  • 증법 : (1)식품을 훈증 가스로 처리하여 곤충이나 기생충의 알 따위를 없애는 방법. 곡류나 콩류의 저장에 이용된다.
  • 련기 : (1)비행사를 훈련시키는 데에 쓰는 비행기.
  • 두수 : (1)‘갈겨니’의 방언
  • 령무 : (1)군을 지휘하고 감독하는 장군의 모습을 담은 전통 춤.
  • : (1)정삼품 당하관의 벼슬 등급을 이르던 말.
  • 증제 : (1)유독 가스를 발생시켜 병균이나 해충을 죽이는 살충제.
  • 치세 : (1)세상을 다스리는 데 관한 교훈적인 가르침.
  • 련견 : (1)특별한 임무나 목적을 위해 훈련을 시킨 개.
  • : (1)한자 해석법의 하나. 해석하려는 글자에 올바른 새김을 붙여 그 깊은 뜻을 해석한다.
  • : (1)국가 유공자임을 증명하는 증서.
  • 련법 : (1)가르쳐서 익히게 하는 방법.
  • : (1)고려 시대에, 공신(功臣)이나 귀순한 성주(城主) 또는 지방의 유력자에게 주던 논밭. 경종 2년(977)부터 지급되었다는 기록이 있다.
  • : (1)나라나 회사에 공훈을 세운 이야기.
  • 태사 : (1)고려 시대에, 관등(官等)의 셋째 위계(位階). 태봉(泰封)의 관제를 본떠서 정한 것으로 중부(重副)의 다음 서열이다.
  • 김익 : (1)조선 중기의 문신(1619~1689). 자는 무숙(懋叔). 호는 광남(光南). 조상의 공덕으로 벼슬자리에 올라 의금부 도사가 되고 사복시 첨정, 광주 부윤, 형조 참판을 지냈다. 서인(西人)으로, 경신출척을 일으켜 남인(南人)을 몰아내었다. 숙종 15년(1689)에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정권을 잡자 투옥되어 고문으로 죽었다.
  • 구파 : (1)조선 건국 또는 조선 초기의 각종 정변(政變)에서 공을 세워 높은 벼슬을 해 오던 관료층.
  • 탄경 : (1)왕겨를 태워 만든 훈탄 배지로 양액을 공급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. 훈탄은 300℃ 정도로 가열하여 만들기 때문에 병충해가 없고, 공극률이 커서 통기성과 보수성이 뛰어나며, 잔근 처리도 쉬워서 간단한 햇볕 소독만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. 훈탄을 처음 사용할 때에는 알칼리성이므로 물로 충분히 씻어 주어야 한다.
  • 동몽 : (1)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훈.
  • 제란 : (1)연기에 익혀 그 연기의 성분이 흡수되게 한 계란.
  • : (1)봉건 제후나 기사의 무용담을 노래한 중세 프랑스 서사시를 이르는 말. 대체로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작가의 상상을 다소 보태어 지었는데, 11세기 말 작품인 <롤랑의 노래>를 비롯하여 80여 편이 현재 전하고 있다.
  • : (1)더운 연기를 회음부에 쐬어 몸을 치료할 때 쓰는 약제.
  • : (1)공로를 세상에 드러내고 밝혀 칭찬하기 위하여 주는 훈장.
  • 궐증 : (1)‘현기증’을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.
  • 홍계 : (1)조선 고종 때의 무신(?~1895). 자는 성남(聖南). 호는 규산(圭珊). 동학 농민 운동 때에 양호 초토사(兩湖招討使)가 되어 관군 8백 명을 이끌고 전주성을 수복하였으며 이후 을미사변 때에 훈련대장으로 광화문을 지키다가 순직하였다.
  • : (1)조선 시대에 둔 정육품 문관의 품계. 선교랑(宣敎郞)의 위, 승의랑(承議郞)의 아래인데, 고종 2년부터 종친의 품계로도 함께 사용하였다.
  • 륙향 : (1)감람과에 속하는 상록수의 진이 녹아 흘러 땅속에서 굳어져 향기를 내는 물건.
  • 민광 : (1)조선 중기의 문신ㆍ외척(1595~1659). 자는 중집(仲集). 병자호란 때 원손(元孫)을 섬으로 피신시켜 무사하게 한 공으로 통정대부에 봉해지고 사후에는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.
  • 남익 : (1)조선 시대의 문신(1640~1693). 자는 훈중(熏中). 호는 파은(坡隱). 형조 참판, 경상도ㆍ함경도 관찰사 등을 지냈으며, 문장에 뛰어나 <옥루몽>의 저자라는 설이 있다.
  • 다색 : (1)흑운모 따위에 방사성 광물이 들어 있을 때, 그 둘레에 생기는 여러 가지 색깔의 얼룩점.
  • 이종 : (1)독립운동가(1855~1931). 호는 정암(正庵). 3ㆍ1 독립 선언 때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, 동학에 들어가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때 선두에서 활약하였으며, 손병희ㆍ권동진 등과 함께 천도교 개편에 힘썼다. 고려 혁명 위원회를 조직하여 항일 운동을 계속하다가 만주에서 병사하였다.
  • 포장 : (1)훈장과 포장을 아울러 이르는 말.
  • 계형 : (1)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주의를 주는 유형.
  • : (1)조선 시대에, 훈련원에 속한 종이품 벼슬.
  • 련함 : (1)해군이 전투 훈련을 할 때에 사용하는 함정.
  • 백광 : (1)조선 선조 때의 시인(1537~1582). 자는 창경(彰卿). 호는 옥봉(玉峯). 시재(詩才)가 뛰어나 최경창ㆍ이달과 함께 ‘삼당’이라 불렸고, 이산해ㆍ최입(崔岦) 등과 함께 ‘팔문장’의 칭호를 들었다. 문집에 ≪옥봉집≫이 있다.
  • : (1)훈장 중에서 최고의 훈장을 이르는 말.
  • 아이 : (1)‘아이후이’의 옛 이름.
  • : (1)조선 초기에, 공신(功臣)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. 세종 10년(1434)에 공신도감을 고친 것인데, 세조 때에 충훈부로 고쳤다.
  • 찬편 : (1)중국 한(漢)나라의 양웅(揚雄)이 지은 자전(字典). ≪창힐편(倉頡篇)≫ 이후 14가지 책에서 뽑아 한문 글자의 뜻을 풀이한 것으로 5,340자를 수록하였다. 1권.
  • 령권 : (1)한 관청이 다른 관청에 훈령을 내릴 수 있는 권한.
  • 도관 : (1)조선 시대에, 한양의 사학(四學)과 지방의 향교에서 교육을 맡아보던 교관.
  • : (1)낮은 온도에서 연기에 오랫동안 그을려서 저장한 식품.
  • : (1)정훈감실의 최고 우두머리.
  • 민가 : (1)조선 시대에, 송강 정철이 지은 16수의 시조. 작가가 강원도 관찰사로 있을 때, 백성을 훈계하기 위하여 지었으며, ≪송강가사≫에 실려 전한다.
  • : (1)날씨나 온도가 견디기 좋을 만큼 덥게. (2)마음을 부드럽게 녹여 주는 따스함이 있게. (3)냄새가 서려 있는 상태로. (4)술 취한 기운이 얼근하게.
  • : (1)정신이 아찔아찔하여 어지러운 느낌.
  • 련비 : (1)가르쳐서 익히게 하는 데 드는 비용.
  • 수꾼 : (1)남이 두는 바둑이나 장기 따위에 끼어들어 수를 가르쳐 주는 사람.
  • : (1)햄, 소시지, 베이컨, 생선 따위를 높은 온도의 불로 훈제하는 방법. 이 방법의 가공을 거치면 고기 맛이 좋고 연하며 향기가 좋으나 저장성이 떨어진다.
  • 조태 : (1)메주를 쑤는 데에 쓰는 콩.
  • : (1)국방부에서 정훈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부서.
  • 박종 : (1)조선 순조 때의 문신(1773~1841). 자는 순가(舜可). 호는 두계(荳溪). 경학ㆍ예악(禮樂)ㆍ율령ㆍ산수ㆍ시ㆍ서(序)에 능하였으며, 저서에 ≪사례찬요(四禮纂要)≫가 있다.
  • : (1)대한민국에 기여한 공로가 뚜렷한 대한민국 국민이나 외국인에게 훈장과 포장을 주는 일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법률.
  • 옹법 : (1)지도를 만들 때에 새의 깃과 같은 짧고 가는 깃 선으로 지형을 조형적으로 묘사하는 방법. 깃 선을 산꼭대기에서 산기슭으로 향하여 배열하는데, 지금은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.
  • : (1)강하고 세차게 하는 훈련.
  • 수질 : (1)남의 일에 끼어들어 이래라저래라 하는 짓.
  • 제기 : (1)고기 따위의 식재료에 훈향이 배게 하여 손쉽게 조리할 수 있도록 만든 기기.
  • 제육 : (1)소금에 절인 후 연기에 익혀 말리면서 그 연기의 성분이 흡수되도록 만든 고기.
  • 이사 : (1)중국 당나라의 화가(651~716). 자는 건견(建見). 좌무위(左武衛) 대장군이 되어, 대이장군(大李將軍)으로 불렸다. 금벽(金碧)과 농채(濃彩)로 세밀한 화풍의 귀족적인 산수화를 잘 그렸다. 금벽 산수, 북종화의 시조로 추앙되었다.
  • 고학 : (1)유학의 경전을 문자나 어구를 해석하는 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. 중국 한나라ㆍ당나라 때에 비롯하였다.
  • : (1)정신이 아찔아찔하여 어지러운 증상.
  • : (1)큰 공로.
  • 화초 : (1)‘무궁화’의 꽃. 우리나라의 국화(國花)이다.
  • : (1)일반인을 가르치고 이끌기 위하여 통속적으로 쉽게 쓴 책.
  • : (1)직업 훈련을 받는 사람.
  • 련장 : (1)훈련을 하는 장소.
  • : (1)교훈적인 내용으로 만든 연극이나 희곡.
  • : (1)군인을 대상으로 한 교양, 이념 교육 및 군사 선전, 대외 보도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병사.
  • 육자 : (1)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쳐 기르는 사람.
  • 곽상 : (1)정치가(1896~1980). 호는 삼연(三然). 3ㆍ1 운동에 참여하였으며, 8ㆍ15 광복 후 초대~5대 국회 의원, 제5대 민의원 의장, 통일 주체 국민 회의 운영 위원장 따위를 지냈다.
  • 련탄 : (1)사격술 따위의 훈련에 사용하는 탄약.
  • 계조 : (1)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주의를 주는 듯한 투.
  • 건품 : (1)소금에 절인 고기 따위를 연기에 쬐어 말린 제품.
  • 함대 : (1)소설가(1906~1949). 호는 일보(一步). 해외 문학파 동인으로 문단에 등장하였고 조선 일보 기자와 극예술 협회 회원으로 활약하다가 광복 후 한성일보 편집국장, 군정청 공보국장, 국립 경찰 전문학교 교장 등을 지냈다. 작품에 단편 <호반(湖畔)>, 장편 <순정 해협> 따위가 있다.
  • 대원 : (1)나라를 위하여 큰 공로를 세운 사람.
  • 련소 : (1)훈련을 하기 위하여 마련한 곳. 또는 그런 기관.
  • : (1)예전에, 돈 있고 권세 있는 집에서 자기 한 집이나 한 사람만을 가르치기 위하여 따로 두던 훈장.
  • 증기 : (1)병해충 따위를 방제하기 위하여 밀폐된 장소 따위에서 가스성 물질을 발생시키는 기기.
  • : (1)다시 훈련함. 또는 그런 훈련.
  • 육법 : (1)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쳐 기르는 방법.
  • 연실 : (1)어육(魚肉)이나 수육(獸肉)을 연기에 익혀 말리는 방.
  • : (1)‘학생 군사 교육단’의 전 이름.
  • : (1)높은 온도의 불로 훈제하여 만든 식품.
  • 척신 : (1)훈신과 척신을 아울러 이르는 말.
  • 조지 : (1)시인ㆍ국문학자(1920~1968). 본명은 동탁(東卓). 청록파 시인의 한 사람으로, 초기에는 민족적 전통이 깃든 시를 썼으며 6ㆍ25 전쟁 이후에는 조국의 역사적 현실을 담은 시 작품과 평론을 주로 발표하였다. 저서에 ≪조지훈 시선≫, ≪시의 원리≫ 따위가 있다.
  • : (1)조선 시대에, 관원들의 근무 태도를 감독하거나 인사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. 이조에 속했는데 태종 5년(1405)에 설치하여, 1894년에 폐지하였다.
  • 련지 : (1)훈련을 하는 장소.
  • : (1)훈장을 받을 만한 인재.
  • 백남 : (1)정치가ㆍ교육가(1885~1967). 호는 해온(解慍). 교육계에 종사하다가 1958년에 민주당 최고 위원을 거쳐, 제5대 국회 의원에 당선되었으나 5ㆍ16 군사 정변으로 의원직을 상실하였다. 1964년에 민정당(民政黨) 최고 위원을 지냈다.
  • : (1)가장 높은 훈위.
  • 장질 : (1)글방의 선생 노릇을 낮잡아 이르는 말. (2)학생을 가르치는 일을 낮잡아 이르는 말.
  • 련 예 : (1)기계 학습에서 학습자의 추론을 통하여 개념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실체.
  • : (1)부대에서 정훈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장교.
  • : (1)교훈이 되거나 교훈으로 삼을 만한. 또는 그런 것.
  • 다시 : (1)‘기저귀’의 방언
  • 련구 : (1)구기 경기에서, 훈련에 사용하는 공.
  • 김상 : (1)시인ㆍ평론가(1919∼1987). 경상남도 거창 출신이다. 광복 이후 조선 문학가 동맹에 들어가 활동했다. 1946년에 ≪전위 시인집≫을 김광현(金光現)‧박산운(朴山雲)‧유진오(兪鎭五)‧이병철(李秉哲) 등과 함께 공동으로 출간하였다. 광복 이후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하다가 한국 전쟁 당시 월북하였다. 독특한 서정성으로 프롤레타리아 시문학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으며, 주요 작품으로 시집 ≪대열(隊列)≫, ≪가족≫과 평론 <테러 문학론> 따위가 있다.
2

초성이 같은 단어들

(총 98개) : 하, 학, 한, 할, 핡, 함, 합, 핫, 항, 해, 핵, 핸, 햄, 햇, 행, 향, 허, 헉, 헌, 헐, 험, 헛, 헝, 헤, 헥, 헬, 헴, 헵, 헷, 헹, 혀, 혁, 현, 혈, 혐, 협, 형, 혜, 혬, 호, 혹, 혼, 홀, 홈, 홉, 홍, 홑, 화, 확, 환, 활, 황, 홰, 홱, 횅, 회, 획, 횟, 횡, 효, 후, 훅, 훈, 훌, 훍, 훔, 훗, 훙, 훠, 훤, 훨, 훰, 훼, 휀, 휑, 휘, 휙, 휠, 휨, 휭, 휴, 흄, 흉, 흐, 흑, 흔, 흘, 흙, 흠, 흥, 흨, 희, 힁, 히, 힐, 힘, 힝, 힠

실전 끝말 잇기

훈으로 시작하는 단어 (312개) : 훈, 훈간, 훈감, 훈감하다, 훈개, 훈건, 훈건품, 훈건하다, 훈격, 훈계, 훈계 방면, 훈계조, 훈계하다, 훈계형, 훈고, 훈고하다, 훈고학, 훈고학자, 훈고학적, 훈공, 훈관, 훈광, 훈교, 훈교되다, 훈교하다, 훈구, 훈구파, 훈국, 훈국동영, 훈국선 ...
훈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312개 입니다.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, 훈을 포함하는 세 글자 단어는 166개 입니다.

🦉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?